
- 동단비 옆 동바람
- 저자 : 이정아 지음
- 출판사 : 문학동네
- 출판년도 : 2020
- 청구기호 : 813.8 이정아ㄷ
소장위치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
EM0372036 | 어린이자료실 | 813.8 이정아ㄷ | 대출가능 | 예약불가 | |
EM0372037 | 어린이자료실 | 813.8 이정아ㄷ 2 | 대출가능 | 예약불가 |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풍덩, 공룡 수영장 | 이정아 지음 | EM0000359765 | 813.8 이정아ㅍ |
풍덩, 공룡 수영장 | 이정아 글 | EM0000096836 | 813.8 이정아ㅍ |
감사해요 | 이정원 글 | EM0000126873 | 813.8 이정원ㄱ |
감사해요 | 이정원 글 | EM0000338995 | 813.8 이정원ㄱ |
감사해요 | 이정원 글 | EM0000170822 | 813.8 이정원ㄱ |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짜증 바이러스 : 이정실 동화 | 이정실 지음 | EM0000340624 | 813.8 이정실ㅉ |
짜증 바이러스 : 이정실 동화 | 이정실 지음 | EM0000162361 | 813.8 이정실ㅉ |
어서오세요 만리장성입니다 | 이정록 글 | EM0000166303 | 813.8 이정록어 |
어서오세요 만리장성입니다 | 이정록 글 | EM0000057818 | 813.8 이정록어 |
노는 물을 바꿔라! | 이정록 글 | EM0000177992 | 813.8 이정록노 |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
점촌도서관 | EM0107004 | 어린이자료실 | 아동813.8 이74ㄷ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풍산분관 | JU0048629 | 어린이자료실 | J813.8 이73ㄷ | 대출가능 | |
삼국유사군위도서관 | EM0122933 | 어린이자료실 | 아813.8 이73ㄷ | 대출가능 | |
영주선비도서관 | EM0177643 | 어린이자료실 | 아813.7 이73ㄷ | 대출가능 | |
고령도서관 | EM107010 | 어린이자료실 | 아813.8 이73ㄷ | 대출가능 | |
영주선비도서관풍기분관 | EM0124954 | 어린이자료실 | 아813.6 반달 38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 | EM0372036 | 어린이자료실 | 아동813.8 이정아ㄷ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 | EM0372037 | 어린이자료실 | 아동813.8 이정아ㄷ 2 | 대출가능 |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 이정아 |
---|---|
출판사 | 문학동네 |
출간일 | 20200909 |
ISBN | 9788954674522 |
정가 | |
요약 | 단비가 내리는 길, 바람이 가는 길, 아기 고양이 소리가 퍼지는 길, 청설모가 소나무 위로 오르는 길,박하가 향기를 보내는 길…… 오늘 여러분은 어떤 길을 걸었나요?그 길에서 누굴 만나고 무엇을 보았나요?길 위에서 만난 우리들, 모두 소중한 존재입니다. _이정아 우린 평행선이 아니라 나란히 같은 길을 걷고 있는 거야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수상작 『신고해도 되나요?』의 이정아 작가 새 동화불량식품 하나로 어른들은 왜 저럴까, 불량이란 뭘까 깊숙한 직구를 던져 아이들을 속 시원하게 했던 『신고해도 되나요?』. 이 작품은 눈덩이처럼 커져 가는 소동을 그려 내는 데 따를 이가 없을 것이라는 평을 받으며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동안 주로 아이들의 생활 속 고민을 파고드는 동화를 출간하며 독자들에게 꾸준한 지지를 얻은 이정아 작가. 문학이 독자의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역할도 중요하다고 볼 때, 이 작가의 작품은 충분히 그런 매력을 갖고 있다, 는 당시 심사평은 이정아 작가의 작품이 그리는 세계를 짐작케 한다. 『동단비 옆 동바람』은 세 작품을 묶어 놓은 단편집이다. 「동단비 옆 동바람」 「너 거기 있니?」 「고양이가 다녀간 자리」 모두 ‘길’ 위에서 나란히 걸어가는 이들의 이야기이다. 우리 옆의 단비와 바람, 우리 곁의 산과 못, 우리 옆을 스치는 고양이…… 장애와 비장애, 환경과 개발, 생명과 공존 등 의미 있는 주제를 담아 깊이 이야기 나누어 봄 직하다. 마음 내키는 대로 손쉽게 생명을 사고팔고 다루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 인공적인 생태원에 밀려 자연 그대로의 삶은 위협받는 모순, 장애 가정 안과 밖의 유대……. 작가가 주위에서 보고 느낀 것, 작가의 실제 경험을 녹인 이야기에 자신의 경험을 용해해 읽다 보면 질문과 바람이 쌓인다. 질문은 여러 갈래로 세상을 보는 길을 열어 주고, 바람은 내가 원하는 세계에 대한 상을 만들어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