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소년 독서회 「책담」 운영일정
프로그램 운영 계획 | |||
---|---|---|---|
일자 | 소주제 | 운영내용 | |
4/5 | 토 | 사회소설 |
현진건의 <운수좋은 날>에서 1920년대 식민지를 살아가는 하층민의 삶을 관찰하고 작가가 ‘반어적’인 제목을 설정한 의미를 생각해 본다. |
4/12 | 토 | 순수소설 | 이태준의 <돌다리>에서 아버지가 중요하게 여기는 ‘돌다리’가 상징한 것이 무엇인지, 등장인물의 가치관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본다. |
4/19 | 토 | 서정소설 |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에서 자유연애의 장애 요소가 되는 1930년대 사회관습을 찾고 작가가 ‘2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이야기한 이유를 생각해 본다. |
4/26 | 토 | 농촌소설 | 김유정의 <동백꽃>에서 주요 두 인물의 대조적인 성격과 인물들의 말투들이 어떻게 ‘해학성’과 ‘향토성’을 두드러지게 하는지를 살펴본다. |
5/3 | 토 | 낭만소설 |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서 시·공간적 배경을 찾고, 그 ‘배경’이 지니는 의미와 작가의 이야기 전달 방식과 ‘문체적’ 특징을 알아본다. |
5/10 | 토 | 심리소설 | 이상의 <날개>에서 ‘나’의 의식 변화 과정을 찾아 정리하고 ‘방’으로부터의 ‘외출’의 의미와 연관하여 ‘날개’가 상징하는 바를 생각해 본다. |
5/17 | 토 | 성장소설 | 현덕의 <나비를 잡는 아버지>에서 인물들 간의 갈등 요인을 찾아 그 해결방식을 생각해 보고 아버지가 나비를 잡는 이유를 추측해 본다. |
5/24 | 토 | 풍자소설 | 채만식의 <치숙>에서 주요 두 인물을 비교하고 그 인물들이 어떻게 ‘풍자’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본다. |
5/31 | 토 | 핑퐁로봇 | 책 속의 내용을 서로 공유하고 로봇의 사용법을 익힌 다음 내가 코딩한 대로 움직여 보는 창작활동 (※개인 노트북 지참) |
6/7 | 토 | 핑퐁로봇 | 책 속의 내용을 서로 공유하고 로봇의 사용법을 익힌 다음 내가 코딩한 대로 움직여 보는 창작활동 (※개인 노트북 지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