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회
독서회 - 책을 읽는 아이들
- 대상 : 구미시 관내 초등학교 4 ~ 5학년
- 운영 : 매월 넷째 주 수요일 오후 3시 ~ 5시
- 장소 : 도서관 2층 세미나실
- 활동 : 독서토론 및 다양한 독후활동
- 문의 : 어린이자료실 (☎450-7003)
2021년 초등독서회 「책을 읽는 아이들」 운영 계획
날짜 | 활동도서 | 활동내용 | 출판사 |
---|---|---|---|
1월 | 『프리다칼로, 나는 살아있어요』 | 나의 이야기 | 담푸스 |
2월 | 『마지막 뉴스』 | 환경에 대한 이야기 | 웃는돌고래 |
3월 | 『다 잘될거야』 | 시리아 난민 이야기 | 책빛 |
4월 | 『행복한 부자가 되는 세개의 잔』 | 경제이야기 | 살림어린이 |
5월 | 『거짓말 같은 이야기』 | 아동인권이야기 | 시공주니어 |
6월 | 『아빠 왜 히틀러한테 투표했어요?』 | 투표, 선거 이야기 | 봄나무 |
7월 | 『5번 레인』 | 우정 | 문학동네 |
8월 | 내가 소개 하고 싶은 책 | ||
9월 | 『내 휴대폰 속이 슈퍼스파이』 | 미디어이야기 | 밝은 미래 |
10월 | 『단어수집가』 | 진짜 행복이야기 | 문학동네 |
11월 | 『내이름을 불러줘』 | 재밌는 동시 짓기 | 좋은책어린이 |
12월 | 『병하의 고민』 | 장애인식 개선교육 | 한울림 스페셜 |
※ 활동 일정은 도서관 또는 독서회 회원의 사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독서회 - 금오청소년독서회
- 대상 : 구미시 관내 중학생
- 운영 :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후 2시 ~ 4시
- 장소 : 도서관 2층 회의실
- 활동 : 독서토론, 주제 발표 및 종합토론, 전문가와 독서상담
- 문의 : 일반자료실 (☎450-7001)
2021년 금오청소년독서회 운영 계획
순 | 구분 | 도서명 | 지은이 | 출판사 | 강의 내용 |
---|---|---|---|---|---|
1월 | 소설 | 체리새우:비밀글입니다 | 황영미 | 문학동네 | ‘우리’안에서 ‘나’의 모습을 찾아본다. |
2월 | 소설 | 몽실언니 | 권정생 | 창비 | 소설 속의 시대에 대해 알아본다. |
3월 | 사회 | 누가 민주주의를 훔쳐갔을까? | 김은식 | 이상미디어 | 민주주의의 의미와 가치를 생각해본다. |
4월 | 소설 | 페인트 | 이희영 | 창비 | 나의 미래 모습을 상상해본다. |
5월 | 철학 | 생각한다는 것 | 고병권 | 너머학교 | 책을 읽고 바뀐 나의 모습을 생각해본다. |
6월 | 소설 | 내 인생의 스프링캠프 | 정유정 | 비룡소 | 등장인물이 성장하는 모습을 찾아본다. |
7월 | 과학 | 과학, 리플레이 | 가치를꿈꾸는과학교사모임 | 양철북 | 과학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익힌다. |
8월 | 역사 | 일제강점기 그들의 다른 선택 | 선안나 | 피플파워 | 다양한 역사인물에 대해 알아본다. |
9월 | 환경 | 물고기가 사라진 세상 | 마크 쿨산스키 | 두레아이들 | 바다생태계와 환경보호를 생각해 본다. |
10월 | 시 | 난 학교 밖 아이 | 김애란 | 창비교육 | 학교에 대한 생각을 시로 표현한다. |
11월 | 소설 |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 이경혜 | 바람의 아이들 | 청소년의 다양한 고민들을 느껴본다. |
12월 | 사회 | 선생님, 미디어가 뭐예요? | 손석춘 | 철수와영희 | 미디어의 개념과 역사를 알아본다. |
※ 강의 일정은 독서회 및 도서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독서회 - 느티나무독서회
- 1986년 첫모임을 시작으로 구미지역의 독서 문화 정착을 유도하고, 독서인구 저변확대에 노력하였으며 더 나아가 구미문학의 중심으로 커가고 있는 느티나무 독서회입니다. 20여년의 전통과 실력으로 다져진 모임으로 책에 관심 있는 분이나 문학을 사랑하는 분이라면 누구라도 환영합니다.
- 대상 : 구미시 및 인접지역(김천시, 칠곡군)에 주소지를 둔 일반인
- 운영 : 매월 첫째 주, 셋째 주 목요일 10시 ~ 12시
- 장소 : 도서관 2층 회의실
- 활동 : 독서토론, 시낭송회, 문집발간, 문학기행, 도서관 행사참여 등 다양한 활동
- 문의 : 일반자료실 (☎450-7001)
2021년 느티나무독서회 운영 계획
구분 | 독서토론 | 문예창작수업 |
---|---|---|
1월 | 당신은 첫눈입니까? | <불화하는 말들> 우리는 왜 시를 쓰는가 |
2월 | 이기적 유전자 | <불화하는 말들> 시가 우리에게 주는 가치와 시창작의 실제 |
3월 | 눈 | <불화하는 말들> 대상을 통해 획득하는 진실과 배반 |
4월 | 정의란 무엇인가? | <불화하는 말들> 시를 통한 자아의 새로운 확립 |
5월 | 두 번째 지구는 없다(기후변화) | 낯설게 하기 – 러시아 형식주의 쉬클로프스키의 이론을 중심으로 |
6월 | 짐을 끄는 짐승들 | 시집 <당신은 첫눈입니까> 가운데 부질없음과 아름다움 고요함에 대하여 |
7월 | 사랑의 단상 | <슬픔>에 대한 고찰 |
8월 | 휴 강 | <무한화서> 고통이란 무엇인가. 실제의 느낌과 작품 속의 비유에 대하여 |
9월 | 넛지(경제) | <무한화서> 고통을 바라보는 시선. 시 창작지도와 첨삭 |
10월 | 간송미술 36회화 | <무한화서> 고통이 본질적으로 우리에게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
11월 |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 명사나 동시보다 조사나 허사가 아름다운 이유 - 보잘 것 없는 것들의 소중함 |
12월 | 그리스인 조르바 | 시는 우리에게 어떻게 왔는가. 당신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
※ 수업 일정은 독서회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