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쇼펜하우어의) 고독한 행복
- 저자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출판사 : 열림원
- 출판년도 : 2024
- 청구기호 : 165.47 쇼펜하고
소장위치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
EM0183401 | 종합자료실 | 165.47 쇼펜하고 | 대출중 | 20250722 | 예약하기 |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 : 살아갈 힘을 주는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 EM0000132497 | 165.47 쇼펜하쇼 |
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 EM0000060572 | 165.47 쇼펜하쇼 |
쇼펜하우어의 철학 이야기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 EM0000175998 | 165.47 쇼펜하쇼ㄱ |
쇼펜하우어의 세상을 보는 지혜 : 당신은 지혜로운 만큼 행복해진다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엮음 | EM0000179596 | 165.47 쇼펜하쇼ㄴ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1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저 | EM0000168416 | 165.47 쇼펜하의 1 |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쇼펜하우어 인생수업 : 한 번뿐인 삶 이렇게 살아라 | 쇼펜하우어 저 | EM0000128633 | 165.47 쇼펜하ㅎ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 EM0000107881 | 165.47 쇼펜하ㅇ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쇼펜하우어 [지음] | EM0000117601 | 165.47 쇼펜하ㅇ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 EM0000132251 | 165.47 쇼펜하ㅇ |
쇼펜하우어 인생철학 | 쇼펜하우어 [지음] | EM0000111346 | 165.47 쇼펜하ㅅ4 |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
고령도서관 | EM119160 | 종합자료실 | 165.47 쇼843ㄱ | 대출중 | 20250705 |
외동도서관 | EM0152343 | 종합자료실 | 165.47 쇼894ㄱ | 대출중 | 20250702 |
청도도서관 | EM0183401 | 종합자료실 | 165.47 쇼펜하고 | 대출중 | 20250722 |
성주도서관 | EM0129689 | 종합자료실 | 165.47 쇼843ㄱ | 대출중 | 20250513 |
경상북도교육청연수원 | EM0036188 | 도서관외부 | 165.47 쇼894ㄱ | 대출가능 | |
구미도서관 | EM0438682 | 일반자료실 | 165.47 쇼843ㄱㄷ | 대출가능 |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 쇼펜하우어 |
---|---|
출판사 | 열림원 |
출간일 | 20240624 |
ISBN | 9791170402688 |
정가 | |
요약 | ‘연민과 온정의 철학자’ 쇼펜하우어의현실적인 행복을 위한 266가지 아포리즘“쇼펜하우어는 인생이란 어차피불행하고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보면서도,또한 바로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현재를 즐기고 인생의 향유를 삶의 목적으로삼는 것이 위대한 지혜라고 말한다.”“우리의 행복은 우리를 이루는 것, 즉 인격에 좌우된다.”『쇼펜하우어의 고독한 행복』은 국내에서 엮은 쇼펜하우어 교양서들과 달리 쇼펜하우어의 본고장 독일에서 직접 대중을 위해 기획하고 엮은 아포리즘 시리즈 중 첫 번째 책이다. 엮은이 우르줄라 미헬스 벤츠는 브레히트, 아도르노, 벤야민 등 세계적인 지성들의 책을 소개해온 독일의 유명 출판사 ‘주어캄프’ 편집자 출신으로 쇼펜하우어의 핵심을 담은 266개의 문장을 엄선했다. 번역은 쇼펜하우어 철학서 원전인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을 포함한 다수의 독일 철학서를 번역한 홍성광이 맡았다. 그는 쇼펜하우어를 ‘연민과 온정의 철학자’로 명명하며 독자들이 익혀야 할 쇼펜하우어의 숨겨진 정수를 전달한다. 이 책은 총 7부 구성으로 1, 2, 3부는 한 사람이 자신만을 위해 추구해야 하는 행복과 가치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4, 5, 6부는 자연물을 포함한 타자와의 관계에서 지혜롭게 대처하기 위해 우리가 취해야 할 태도 지침을 담고 있다. 마지막 장인 7부는 인간의 필멸성과 끝내 우리가 맞이할 죽음을 바라보는 쇼펜하우어만의 아름답고 차분한 통찰로 끝맺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