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추천

  1.  HOME
  2. 자료검색
  3. 추천도서
  4. 사서추천
어쩌다 시에 꽂혀서는
  • 어쩌다 시에 꽂혀서는
  • 저자 : 정연철 지음
  • 출판사 : 위즈덤하우스
  • 출판년도 : 2021
  • 청구기호 : 813.7 정연철ㅇ


소장위치

등록번호 소장위치 청구기호 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EM0346979 일반자료실 813.7 정연철ㅇ 대출가능 예약불가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저자 등록번호 청구기호
한숨 먹는 괴물 후유 정연철 글 EM0000126257 813.7 정연철ㅎ
어쩌다 시에 꽂혀서는 : 정연철 장편소설 정연철 [글] EM0000168789 813.7 정연철어
겨우 존재하는 인간 : 정영문 장편소설 정영문 지음 EM0000382003 813.7 정영문ㄱ
프롤로그 에필로그 정영문 지음 EM0000173395 813.7 정영문ㅍ
프롤로그 에필로그 : 정영문 장편소설 정영문 지음 EM0000363389 813.7 정영문ㅍ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저자 등록번호 청구기호
나는 안티카페 운영자 정연철 글 EM0000092428 813.7 정연철ㄴ
꼴값 : 정연철 장편소설 정연철 EM0000107956 813.7 정연철ㄲ
꼴값 : 정연철 장편소설 지은이: 정연철 EM0000091456 813.7 정연철ㄲ
꼴값 : 정연철 장편소설 정연철 지음 EM0000051505 813.7 정연철ㄲ
꼴값 : 정연철 장편소설 지은이: 정연철 EM0000116651 813.7 정연철ㄲ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등록번호 소장위치 청구기호 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경상북도교육청문화원 EM0052327 일반도서 813.7 정연철ㅇ 대출가능
구미도서관 EM0402414 일반자료실 813.7 정64ㅇㅉ 대출가능
구미도서관 EM0402415 일반자료실 813.7 정64ㅇㅉ c.2 대출가능
구미도서관 EM0412184 일반자료실 813.7 정64ㅇㅉ c.4 대출가능
영덕도서관 EM0121859 종합자료실 813.7 정64ㅇ 대출가능
칠곡도서관 EM0107205 종합자료실 813.7 정64어 대출불가(자료실)
안동도서관용상분관 EM0105724 일반자료실 813.7 정64ㅇ 대출가능
청송도서관 EM0126189 종합자료실 811.7 정64ㅇ 대출가능
점촌도서관가은분관 EM093009 큰책방 813.7 정연철ㅇ 대출가능
점촌도서관가은분관 EM094161 큰책방 813.7 정연철ㅇ 2 대출가능
점촌도서관 EM0107853 일반자료실 813.7 정64ㅇ 대출가능
안동도서관 EM0346979 일반자료실 813.7 정연철ㅇ 대출가능
외동도서관 EM0141225 종합자료실 813.7 정64ㅇ 대출가능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정연철
출판사 위즈덤하우스
출간일 20210129
ISBN 9791191119947
정가
요약 외롭고 아픈 시간을 홀로 견뎌야 했던우리의 열일곱을 위한 가장 시적인 위로!누구에게나 십 대는 성장통을 겪는 시기이다. 특히 십 대를 상징하는 열일곱은 외롭고 아픈 시간을 홀로 숨죽여 울어야 하는 때인지도 모른다. 만약 그 시기에 시를 읽는다면 어떨까? 이 책의 주인공 겸이는 웃는 얼굴에 상처를 감추고 살아가는 아이다. 그러다 시를 만나면서 절대 낫지 않을 것 같았던 마음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어 간다. 시는 절대 읽는 사람에게 무언가를 강요하거나 독촉하지 않는다. 다만 시 읽는 주체가 어떻게 느끼냐에 따라 매번 다른 파동과 의미를 남긴다. 이 책은 십 대와 시를 연결하는 이야기로, 혹독한 성장통을 겪는 십 대들에게 가장 시적인 위로와 치유를 선사할 것이다."정연철의 『어쩌다 시에 꽂혀서는』에는 시를 읽고 쓰는 열일곱 살 소년 겸이 등장한다. 그는 어쩌다 시를 듣고 읽고 쓰게 되는데, 이 ‘어쩌다’가 어느새 ‘필연’이, 마침내 ‘일상’이 된다. 그에게 시는 더 이상 문제 풀기 위해 읽고 외우는 것이 아니다. 그는 시를 통해 스스로를 들여다보고 상대를 이해하고 삶과 죽음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한다. 시적 화자가 처한 입장은 나의 처지와 겹쳐지면서 긴 여운을 남긴다. 주변에서 발견한 작은 존재를 시로 옮겨 적으면서 다친 마음을 한 땀 한 땀 깁기도 한다. 시는 이제 슬픔과 두려움을, 아픔과 그리움을 껴안고 내일을 마주할 수 있는 힘이 된다. “시가 무엇을 할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이 책을 권하고 싶다." _오은(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