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숨 쉬게 하는) 보통의 언어들 [큰글자도서]](https://shopping-phinf.pstatic.net/main_3256652/32566528623.20221019141922.jpg)
- (나를 숨 쉬게 하는) 보통의 언어들 [큰글자도서]
- 저자 : 김이나 지음
- 출판사 : 위즈덤하우스
- 출판년도 : 2022
- 청구기호 : 큰 818 김68ㅂ
소장위치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
JM0236435 | 일반자료실 | 818 김68ㅂ | 대출가능 | 예약불가 |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세상에서 가장 느린 달팽이의 속도로 | 김인선 지음 | JM0000216619 | 818 김68ㅅ |
생활이라는 계절 : 김의경 에세이 | 김의경 지음 | EM0000130969 | 818 김68ㅅ |
스친 것들에 대한 기록물 | 김은비 지음 | EM0000121186 | 818 김68ㅅ |
사랑하되, 애쓰지 말 것 : 워킹맘을 위한 육아 에세이 | 김은희 지음 | EM0000103883 | 818 김68ㅅ |
습관의 말들 : 단단한 일상을 만드는 소소한 반복을 위하여 | 김은경 지음 | EM0000120579 | 818 김68ㅅ |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모든 순간에 꽃은 피듯이 : 요즘 너의 마음을 담은 꽃말 에세이 | 김은아 지음 | EM0000188603 | 818 김68ㅁ |
1cm giữa anh và em | Kim Eun Ju | EM0000120457 | 818 김68ㅁ |
동거 식물 | 김은진 지음 | EM0000100522 | 818 김68ㄷ |
든든한 수프 상담소 | 지은이: 김은채 | EM0000070309 | 818 김68ㄷ |
내 어머니 이야기 . 4 | 김은성 지음 | EM0000159847 | 818 김68ㄴ 4 |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
영주선비도서관풍기분관 | EM0126493 | 일반자료실 | 큰818 김이나ㅂ | 대출가능 | |
영양도서관 | EM0127661 | 종합자료실 | 큰글818 김69ㅂ | 대출가능 | |
영주선비도서관 | EM0197490 | 종합자료실 | 큰818 김69ㅂ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 | EM0360991 | 일반자료실 | 큰글자818 김이나ㅂ | 대출중 | 20250928 |
봉화도서관 | EM0127200 | 일반자료실 | 큰글자818 김69ㅂ | 대출가능 | |
점촌도서관 | EM0114034 | 일반자료실 | 큰글818 김68ㅂ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풍산분관 | EM0067194 | 종합자료실 | 큰글자818 김69ㅂ | 대출가능 | |
상주도서관 | JM0236435 | 일반자료실 | 큰818 김68ㅂ | 대출가능 | |
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 EM266763 | 종합자료실 | 큰글814.7 김69ㅂ | 대출가능 | |
금호도서관 | EM0129962 | 종합자료실 | 큰글자818 김이나ㅂ | 대출가능 |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 김이나 |
---|---|
출판사 | 위즈덤하우스 |
출간일 | 20220829 |
ISBN | 9791168123106 |
정가 | |
요약 | 대한민국 대표 작사가 김이나가 일상의 언어들에서 포착한 마음의 풍경. 매 순간 결핍과 고독감에 흔들리는 '보통의 우리들'을 위한 책. 〈보통의 언어들〉은 김이나 작가가 그간 대중과 긴밀히 소통해온 경험을 살려 우리가 삶에서 맞부딪히는 복잡한 감정과 관계의 고민에 대한 해법을 일상의 단어 속에서 탐색한다.그녀는 작사가로서의 예민한 안테나를 살려 우리가 자주 표현하는 감정의 단어들을 수집하고, 그 단어들이 다 품어내지 못한 마음의 풍경을 섬세하게 포착했다. 평범한 단어들 속에 깃들인 특별한 가치를 찾고 삶의 지향점을 풀어가는 김이나의 글은 쳇바퀴 같은 생활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그 안에서 우리는 어떻게 확장된 인생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