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층 입원실의 갱스터 할머니 : 양유진 에세이
- 저자 : 양유진 지음
- 출판사 : 21세기북스
- 출판년도 : 2024
- 청구기호 : 814.7 양66ㄱ
소장위치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
JM0243331 | 일반자료실 | 814.7 양66ㄱ | 대출가능 | 예약불가 |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나는 죽을 때까지 지적이고 싶다 = Intelligent until I die | 양원근 지음 | JM0000240603 | 814.7 양66ㄴ |
고층 입원실의 갱스터 할머니 | 양유진 지음 | EM0000157696 | 814.7 양67ㄱ |
그 겨울의 찻집 | 양인자 지음 | EM0000133719 | 814.7 양69ㄱ |
아주 사적인 여행 : 양주안 산문집 | 양주안 지음 | JM0000240638 | 814.7 양76ㅇ |
아주 사적인 여행 | 양주안 지음 | EM0000117418 | 814.7 양76ㅇ |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혼자는 천직입니다만 : 상상의 세계에서 현실을 꿈꾸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 양수련 지음 | EM0000101347 | 814.7 양57ㅎ |
혼자는 천직입니다만 : 상상의 세계에서 현실을 꿈꾸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 양수련 지음 | EM0000241200 | 814.7 양57ㅎ |
어른 공부 | 양순자 지음 | EM0000087167 | 814.7 양56ㅇ |
세 개의 거울 | 양선규 지음 | JM0000230113 | 814.7 양54ㅅ |
세 개의 거울 : 양선규 인문학 산문집 | 양선규 지음 | EM0000108855 | 814.7 양53ㅅ |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
칠곡도서관 | EM0117305 | 종합자료실 | 818 양67ㄱ | 대출가능 | |
영일도서관 | EM0092993 | 종합자료실 | 818 양66ㄱ1 | 대출가능 | |
경상북도교육청문화원 | EM0059991 | 일반도서 | 818 양유진ㄱ | 대출가능 | |
청도도서관 | EM0179572 | 종합자료실 | 818 양유진ㄱ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용상분관 | EM0118108 | 일반자료실 | 818 양67ㄱ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용상분관 | EM0118109 | 일반자료실 | 818 양67ㄱ 2 | 대출가능 | |
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 EM279079 | 종합자료실 | 818 양67ㄱ | 대출가능 | |
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 EM0279080 | 종합자료실 | 818 양67ㄱ c.2 | 대출가능 | |
상주도서관 | JM0243331 | 일반자료실 | 814.7 양66ㄱ | 대출가능 | |
영덕도서관 | EM0132216 | 종합자료실 | 818 양66ㄱ | 대출가능 | |
성주도서관 | EM0127789 | 종합자료실 | 818 양67ㄱ | 대출가능 | |
구미도서관 | EM0429933 | 일반자료실 | 818 양67ㄱ | 대출중 | 20250430 |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 양유진 |
---|---|
출판사 | 21세기북스 |
출간일 | 20240320 |
ISBN | 9791171174508 |
정가 | |
요약 | “다행인 것은 이제 환자라는 걸 즐기는 지경까지 왔다는 것이다”100만 크리에이터 ‘빵먹다살찐떡’, 양유진이 처음 고백하는 난치병 ‘루푸스’ 투병오롯한 진심으로 당신에게 건네는 유쾌하고 담백한 응원누군가의 오랜 아픔을 마주하는 일이 이토록 환하고 유쾌할 수 있을까? 마냥 해맑게 자랐을 것만 같았던 크리에이터 ‘빵먹다살찐떡’ 양유진의 첫 투병 고백 이야기다. 틱톡과 유튜브 채널 ‘빵먹다살찐떡’으로 수많은 이들에게 다정한 웃음을 선사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지금까지 마음속에 꼭꼭 숨겨두었던, 난치병 ‘루푸스’(만성 자가면역 질환) 투병을 고백한다. 작은 방에서 홀로 찍었던 영상이 많은 이들에게 닿아 100만이 넘는 구독자를 모으기까지 괜스레 이야기하지 못했던 지난날의 아픔을 책에 조심스럽게 담아냈다. 10년 동안 난치병 환자로 살아오며 생사의 갈림길마다 자신을 일으켜 세운 사람들의 털털하고도 다정한 사랑이 저자가 이 책을 쓰게 한 동기다. 남모를 아픔으로 남들과 조금은 다른 길을 가야 했던 어린 날, 삶의 곳곳에서 나타나 삶의 방향과 태도를 가르쳐준 사람들을 위해, 또 자신이 받은 응원을 누군가에게 다시 돌려주기 위해, 저자는 용기를 내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갑자기 불쑥 꺼낸 진지한 이야기에 멋쩍은 분위기가 될까 봐, 인기를 얻었다고 책을 내는 모양이 될까 봐, ‘빵떡’ 양유진은 밤을 지새우며 글자를 지우고 또 지우며 한 글자씩 꾹꾹 눌러 자신의 진심을 담았다. 그 진심 가득한 이야기들 속에서, 저자의 내면에 섬세하게 자리 잡은 수많은 사람이 선명하게 기록된다. 고층 항암 병동에서 입원했을 때 마주한 ‘갱스터 할머니’에게 꿋꿋한 삶의 태도를 배우고, 여행 중에 만난 동네 할아버지에게 고민의 힌트를 얻는다. 결국 살아갈 힘을 주는 것은 사람이라는 것을, 그 사람들과 함께 만든 꿈이라는 것을, 그 꿈을 통해 사람들과 함께 웃는 웃음이라는 것을, 이 책은 담백하고 진솔하게 당신에게 슬쩍 건넨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나’의 아픔에 대한 고백일 뿐 아니라, ‘나’를 살게 한 수많은 얼굴에 대한 기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