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 저자 : 김원영 지음
- 출판사 : 사계절
- 출판년도 : 2018
- 청구기호 : 334.9 김66ㅅ
소장위치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
| JM0227849 | 일반자료실 | 334.9 김66ㅅ | 대출가능 | 예약불가 |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 극우 청년의 심리적 탄생 = The extreme right : 누가 그들의 마음속 분노, 좌절, 박탈감을 원한과 복수로 키워 극우가 되게 하는가 | 김현수 지음 | EM0000225659 | 334.9 김94ㄱ |
| 극우 청년의 심리적 탄생 : 누가 그들의 마음속 분노, 좌절, 박탈감을 원한과 복수로 키워 극우가 되게 하는가 | 김현수 지음 | JM0000251486 | 334.9 김94ㄱ |
| 골골한 청년들 : '건강한 몸'의 세계를 살아내는 다양한 몸들의 이야기 | 김미영 | EM0000364581 | 334.9 김미영ㄱ |
| 죽는 게 참 어렵습니다 | 지은이: 김영화 | EM0000121530 | 334.9 김영화ㅈ |
| 디지털 장의사, 잊히고 싶은 기억을 지웁니다 | 김호진 지음 | EM0000124972 | 334.9 김호진ㄷ |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 죽는 게 참 어렵습니다 | 지은이: 김영화 | EM0000123496 | 334.9 김64ㅈ |
| 애도하는 게 일입니다 : 죽은 자와 남겨진 자의 슬픔을 위로하는 마음 | 김민석 지음 | JM0000237646 | 334.9 김38ㅇ |
| 살인 세대 : 비디오게임, 공격성, 그리고 살인의 심리학 | 데이브 그로스먼 | EM0000329041 | 334.9 그로스ㅅ |
| 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입니다 : 현직 경찰관의 눈으로 바라본 고독사 현장 | 권종호 지음 | EM0000366449 | 334.9 권종호ㄱ |
| (공부 집중력 확 높이는) 우리 아이 게임절제력 | 권장희 지음 | EM0000118642 | 334.9 권71ㅇ |
같은 책 소장정보
| 도서관명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
| 예천도서관 | EM0112736 | 창고 | 338.304 김67ㅅ | 대출가능 | |
| 영주선비도서관 | EM0151757 | 종합자료실 | 338.3 김67ㅅ | 대출중 | 20251104 |
| 안동도서관풍산분관 | EM0061483 | 종합자료실 | 338.3 김67ㅅ | 대출가능 | |
| 안동도서관 | EM0318145 | 일반자료실 | 338.304 김원영ㅅ | 대출가능 | |
| 안동도서관 | EM0319138 | 보존서고 | 338.304 김원영ㅅ 2 | 대출가능 | |
| 울진도서관 | EM0116351 | 종합자료실 | 338.304 김67ㅅ | 대출중 | 20251025 |
| 의성도서관 | EM0134453 | 종합자료실 | 338.304 김67ㅅ | 대출가능 | |
| 구미도서관 | EM0377034 | 일반자료실 | 338.304 김67ㅅ | 대출가능 | |
| 영일도서관 | EM0073425 | 종합자료실 | 338.304 김66ㅅ | 대출가능 | |
| 봉화도서관 | EM0112471 | 일반자료실 | 338.304 김67ㅅ | 대출가능 |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 저자 | 김원영 |
|---|---|
| 출판사 | 사계절 |
| 출간일 | 20180615 |
| ISBN | 9791160943733 |
| 정가 | |
| 요약 | 세상에 태어난 것 자체가 손해인 삶이 있을까? 평생을 방에 누워 있어야 하는 중대한 장애, 자식에게 밥 한 끼 먹이기 어려운 처절한 빈곤, 누구에게도 호감을 사본 적 없는 추한 외모나 다른 성적 지향……. 이런 소수성을 안은 채 소외되고 배척당하며 자기 비하 속에 사는 삶이라면, 차라리 태어나지 않는 편이 낫지 않을까? 이 책의 주요 모티프가 된 ‘잘못된 삶 소송’은 장애를 가진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 차라리 태어나지 않는 편이 나았다며 장애를 진단해내지 못한 의사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민사소송의 한 유형이다. 이 소송은 우리에게 태어난 것이 태어나지 않은 것보다 손해일 수 있는가라는 어려운 질문을 던진다. 1급 지체장애인인 변호사 김원영은 성장기 내내 이 질문과 싸워야 했다. 가난한 집에서 걷지 못하는 몸으로 태어난 그는 자신의 존재가 부모와 이 사회는 물론, 스스로에게도 손해인 것은 아닌지 끊임없이 물어야 했다. 이 책에서 그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흔히 ‘잘못된 삶’, ‘실격당한 인생’이라 불리는 이들도 그 존재 자체로 존엄하고 매력적임을 증명해 보이는 변론을 시도한다. 그의 변론은 사람들 간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인간에 대한 존중이 싹트는지를 탐색하며 시작한다. 이후 자신의 결핍과 차이를 자기 정체성으로 받아들이는 결단이란 어떤 의미인지를 제시하며, 그렇게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살아가는 개개인의 고유한 이야기가 법과 제도의 문에 들어설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나아가 모든 존재에게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특징과 경험과 선호와 고통을 가진 사람인지를 드러낼 무대가 주어진다면, 소수자들 스스로가 ‘인간 실격’이라는 낙인에 맞서 자신을 변론할 수 있으리란 전망을 제시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