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처를 만난 고구려 왕자
- 저자 : 백승남 글
- 출판사 : 푸른숲주니어
- 출판년도 : 2016
- 청구기호 : 813.8 백승남ㅂ
소수림왕이 불교를 받아들인 이듬해 373년을 배경으로, 불교가 고구려 사회에 뿌리내리는 과정을 소수림왕의 동생이자 뒷날 고국양왕이 된 왕자 이련의 눈으로 그려 낸다. 왕자 이련이 태왕의 명으로 극심한 가뭄을 해결하기 위해 사무를 찾아 떠난 모험을 통해 불교가 들어오면서 고구려 사회가 겪는 갈등과 변화를 생생하게 되살려 낸다.
소장위치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
EM0107992 | 어린이자료실 | 813.8 백승남ㅂ | 대출가능 | 예약불가 |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넌 토끼가 아니야 | 백승임 글 | EM0000377961 | 813.8 백승임ㄴ |
넌 토끼가 아니야 | 백승임 글 | EM0000116503 | 813.8 백승임ㄴ |
넌 토끼가 아니야 | 백승임 글 | EM0000179961 | 813.8 백승임ㄴ |
넌 토끼가 아니야 | 백승임 글 | EM0000058728 | 813.8 백승임ㄴ |
백앤아 : GO GO 챌린지 GO . 1 | 백앤아 원작 | EM0000184083 | 813.8 백앤아ㄱ 1 |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나의 잠을 깨우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소리 | 백승권 글 | EM0000331985 | 813.8 백승권ㄴ |
나의 잠을 깨우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소리 | 백승권 글 | EM0000108521 | 813.8 백승권ㄴ |
알 도둑 | 백명식 지음·그림 | EM0000130558 | 813.8 백명식아 |
알도둑 | 백명식 글·그림 | EM0000114517 | 813.8 백명식ㅇa |
102층 괴물 아파트 | 백명식 글·그림 | EM0000116861 | 813.8 백명식ㅂ |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
외동도서관 | EM125071 | 어린이자료실 | 아813.8 백57ㅂ | 대출가능 | |
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 EM0213890 | 어린이자료실 | 아동813.8 백58ㅂ | 대출가능 | |
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 EM0213891 | 어린이자료실 | 아동813.8 백58ㅂ 2 | 대출가능 | |
영일도서관 | JU47880 | 어린이자료실 | 아813.8 백57ㅂ3 | 대출가능 | |
예천도서관 | EM103000 | 창고 | 아동813.8 백58ㅂ | 대출가능 | |
칠곡도서관 | EM92426 | 아동실 | 아동813.7 백58ㅂ | 대출불가(자료실) | |
안동도서관풍산분관 | JU39597 | 어린이자료실 | J813.8 백58ㅂ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풍산분관 | JU39598 | 어린이자료실 | J813.8 백58ㅂ | 대출가능 | |
청송도서관 | EM0119796 | 어린이자료실 | 아813.8 백57ㅂ | 대출가능 | |
상주도서관화령분관 | EM0107992 | 어린이자료실 | 아813.8 백승남ㅂ | 대출가능 |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 백승남 |
---|---|
출판사 | 푸른숲주니어 |
출간일 | 20151130 |
ISBN | 9791156750734 |
정가 | |
요약 | 『부처를 만난 고구려 왕자』는 소수림왕이 불교를 받아들인 이듬해 373년을 배경으로, 불교가 고구려 사회에 뿌리내리는 과정을 소수림왕의 동생이자 뒷날 고국양왕이 된 왕자 이련의 눈으로 그려 낸다. 왕자 이련이 태왕의 명으로 극심한 가뭄을 해결하기 위해 사무를 찾아 떠난 모험을 통해 불교가 들어오면서 고구려 사회가 겪는 갈등과 변화를 생생하게 되살려 낸다. 특히 고구려의 왕자로서 태왕의 뜻을 받들어 부처의 가르침을 배운 이련과 고구려의 사무였던 할아버지처럼 무관(무당)이 되고자 하는 마로 등 서로 다른 입장을 지닌 두 소년을 통해 불교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서로 다른 시각을 보여 줌으로써 역사를 한층 더 입체적으로 들여다보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