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상황별안전대처

  1.  HOME

    화재 발생 시

    사고 진압반

    • 소화기 사용
      • 화재를 발견하면 즉시 소화기를 가지고 현장으로 간다.
      • 초기 화재 진압을 실시한다. 이때 바람을 등지고 소화기를 사용한다.
    • 주변 인화 물질 제거
      • 화재 발생 구역 주변에 있는 제거할 수 있는 인화물질은 즉시 제거한다.
    • 공연자 대피
      • 무대 및 분장실에 있는 공연자를 즉시 대피시킨다.

    관객 대피반

    • 출입구 개방
      • 관객들이 원활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모든 출입구를 개방한다.
    • 관객 대피
      • 관객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앞사람을 밀거나 과격한 행동을 하지 않게 유도하고, 대피경로를 따라 질서 정연하게 관객이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 사고 지역 진입 차단
      • 대피한 관객 등이 화재 발생 공연장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통제한다.

    신고 및 협력반

    • 소방서 신고
      • 화재 발생 지역과 위치, 화재 규모 등을 소방서에 상세히 알리도록 한다.
      • 구조대원이 현장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관객 대피반과 협조하여 진입 경로를 안내한다.

      119 신고 요령

      • 침착하게 전화 119번을 누릅니다.
      • 119를 누르고 불이난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고 주소를 알려줌
        (예시: ○○구 ○○동 ○○○번지예요 / ○○초등학교 뒤 쪽이에요)
      • 소방서에서 알았다고 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않음
    • 비상경보장치 작동
      •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비상경보장치를 작동 시킨다.[건축물 시설관리실에 화재 사실을 알리고 건물에 있는 사람들 모두를 대피시킬 수 있도록 조치한다.
    • 객석 등 점등 및 비상대피방송 실시
      • 관객의 안전한 대피를 위해 객석 등을 점등시키고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대피안내 방송을 재생한다.

    응급 구호반

    • 환자 이송
      • 화재 현장에서 환자가 발생할 경우, 환자를 안전한 지역으로 이송시킨다.
    • 응급 처치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응급처치를 실시하고, 구급대원에게 인계하도록 한다.

    화재 신고요령

    • 침착하게 전화 119번을 누릅니다.
    • 불이 난 것을 말합니다.
    • 화재의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합니다.
    • 주소를 알려 줍니다.(○○구 ○○동 ○○○번지예요 / ○○초등학교 뒤 쪽이에요)
    • 소방서에서 알았다고 대답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맙시다.
    • 공중전화는 빨간색 긴급통화 버튼을 누르면 돈을 넣지 않아도 긴급신고(119, 112 등)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 휴대전화의 경우, 사용 제한된 전화나 개통이 안 된 전화도 긴급신고가 가능합니다.
      • ※ 119는 화재신고는 물론 인명구조, 응급환자이송 등을 요청하는 번호입니다.

    화재시 대피요령(관람객 안내용)

    •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외쳐서 다른 사람에게 알립시다.
    •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릅시다.
    • 엘리베이터는 절대 이용하지 않도록 하며 계단을 이용합시다.
    •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한 때에는 옥상으로 대피합시다.
    • 낮은 자세로 안내원의 안내를 따라 대피합시다.
    • 불길 속을 통과할 때에는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 등으로 몸과 얼굴을 감싸주세요.
    • 출입문을 열기 전에 문손잡이를 만져보세요.
      • 손잡이를 만져 보았을 때 뜨겁지 않으면 문을 조심스럽게 열고 밖으로 나갑시다.
      • 손잡이가 뜨거우면 문을 열지 말고 다른 길을 찾읍시다.
    • 대피한 경우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서 구조를 기다립시다.
    • 밖으로 나온 뒤에는 절대 안으로 들어가지 맙시다.
      • 다른 출구가 없으면 구조대원이 구해줄 때까지 기다립시다.
      • 연기가 방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틈을 옷이나 이불로 막읍시다.(물을 적시면 더욱 좋습니다)
    • 옷에 불이 붙었을 때에는 두 손으로 눈과 입을 가리고 바닥에서 뒹굴어 주세요.

    화연기가 많을 때 주의사항

    • 연기층 아래에는 맑은 공기층이 있습니다.
    • 연기가 많은 곳에서는 팔과 무릎으로 기어서 이동하되 배를 바닥에 대고 가지 않도록 합시다.
    • 한 손으로는 코와 입을 젖은 수건 등으로 막아 연기가 폐에 들어가지 않도록 합시다.

    소화기 사용요령

    •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깁시다.
    • 손잡이 부분의 안전핀을 뽑아주세요.
    • 바람을 등지고 서서 호스를 불쪽으로 향하게 합시다.
    • 손잡이를 힘껏 움켜쥐고 빗자루로 쓸듯이 뿌립시다.
    • 소화기는 잘 보이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곳에 두되 햇빛이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소화전 사용요령

    • 소화전함 상부의 기동용 버튼 또는 발신기 버튼을 누릅니다.
    • 한 사람은 소화전함 내 노즐과 호스를 꺼내 불이 난 곳으로 향합니다.
    • 다른 사람은 호스의 접힌 부분을 펴주고 노즐을 가지고 간 사람이 물 뿌릴 준비가 되었으면 소화전함 내 개폐밸브를 돌려 개방합니다.
    • 노즐을 잡고 불이 타고 있는 곳으로 물을 뿌립니다.

    건물 내부에 고립되었을 경우 대처요령

    • 무리하게 통로나 계단을 통하여 대피하기보다는 건물 내에서 안전조치를 취한 후 고립된 사실을 외부에 알린다.
      • 연기가 들어오면 낮은 자세로 엎드려 담요나 타월 등을 물에 적셔 입과 코를 막고 짧게 호흡하고, 화기나 연기가 없는 창문을 통해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 등을 창밖에 던져 고립 사실 알린다.
    • 불에 타기 쉬운 물건에 물을 뿌려 불길의 확산을 지연시킨다.
    • 화상을 입기 쉬운 얼굴, 팔 등을 물에 적신 수건 또는 두꺼운 천으로 감싸 예방한다.
    • 구조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기다리고, 함부로 창밖으로 뛰어 내리거나, 문을 열어서는 안 된다.

    연기의 성질

    • 최근 건축 자재는 화학제품이 많아, 유독가스가 많이 발생한다.
      • 화학제품이 탈 때는 목재류가 탈 때보다 10~25배 이상의 연기가 발생하고 청산, 염화수소, 호스겐 등의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미량이라도 호흡장애나 마비를 일으켜 사망할 수도 있다.
    • 일산화탄소 1% 포함한 공기를 약 2분 정도 호흡하면 질식사한다.
    • 연기가 이동하는 속도는 수평방향으로 초당 1~2m으로 이동하여 보통사람이 걷는 속도와 같고, 수직방향으로 초당 3~5m이동한다.

    응급환자 발생 시

    사고 진압반

    • 무대에서 응급 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움직이는 무대장치를 정지시킨다.
    • 무대에서 응급 환자 발생 시 환자를 안전한 장소로 이송시킨다.(단, 환자의 상태가 위급할 경우에는 환자를 제자리에 놓아두고 주변 위험물질을 제거한다.

    관객 대피반

    • 응급 의료 기구 준비
      • 구급상자, 자동심장충격기 등 응급도구를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 현장 질서 유지
      • 관객이 동요하지 않도록 현장 질서를 유지시킨다.

    신고 및 협력반

    • 협조 기관 신고
      • 119와 협조기관에 신고하여 환자의 상태를 수시로 보고하고, 119의 전달사항을 관계자에게 전달한다.
    • 구조대원 진입로 안내
      • 환자의 위치를 구조대원이나 전문 의료진에게 정확하게 알린다.

    응급·구호반

    • 주변인 확인
      • 환자의 동행한 사람을 파악하여 환자의 나이, 지병을 확인한다.
    • 응급 처치
      • 119의 의료지도에 따라 응급처치를 실시한다.
      • 구조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환자를 구호하며, 구조대원이 도착하면 환자의 상태를 설명하고 인계한다.

    응급처지의 단계

    의식확인 ⇒ 구조요청 ⇒ 기도유지 ⇒ 호흡확인 ⇒ 인공호흡 ⇒ 맥박확인 ⇒ 흉부압박 ⇒ 재평가

    • ① 의식확인
      • 가볍게 어깨를 두드리며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라고 말한 다음 반응을 살펴본다.
        • 환자를 지나치게 자극하면 목뼈를 다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응급현장 조사시 고려사항
        • 현장은 안전한가?
        •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몇 명이나 다쳤는가?
        •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
    • ② 구조요청
      • 의식이 없다고 판단되면, 한사람을 지정하여 즉시 119에 신고하여 장소, 전화번호, 환자발생상황을 연락하고 필요한 응급처치 등을 지도받는다.
    • ③ 기도유지
      • 의식을 잃은 환자는 혀가 뒤로 말려 기도가 막힐 수 있으므로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제치고 턱을 들어 기도를 유지한다.
      • 사고로 경추(목뼈)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거나, 소아의 경우 턱만 살며시 들어준다.
    • ④ 호흡확인
      • 기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눈으로 가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귀로는 호흡을 들으며 뺨의 촉감을 이용하여 호흡 유무를 5~10초 이내로 확인한다.
      • 호흡이 없거나 공기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으면 환자를 바르게 누인 다음 입안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 2회의 인공호흡을 실시하여 이물질에 의한 기도 폐쇄가 있는지 확인한다.
      • 호흡이 있으면 호흡하기 편한 자세로 변경한다.
        • 통상적으로 호흡하기 편한 자세란 옆으로 눕혀 몸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면서 위로 향한 쪽의 무릎을 약간 굽혀주고,
          팔은 자연스런 위치에 놓고, 베개는 하지 말며 턱은 약간 앞으로 나오게 해주고,
          만일 상처를 입었다면 그 부위를 고려하여 자세를 바꾸어 준다.
      • 구조호흡시 주의사항
        • 즉각적으로 실시한다.
        • 정상적인 호흡이 돌아올 때까지 실시하라
        • 소생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과 사명감을 가져라
        • 충격에 대한 예방을 하라(보온 철저)
    • ⑤ 인공호흡
      • 환자가 숨을 쉬지 않으면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 가장 많이 실시하는 인공호흡법은 구강대 구강법이다.
      • 구강법 요령
        • 이마를 누르면서 턱을 들어 기도를 유지하고, 환자의 입을 벌린다.
        • 환자의 코를 막고 자신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 시킨다.
        • 공기를 서서히 1초 이상 불어 넣는다.
        • 잡았던 코를 놓고 입을 떼어 불어넣은 공기가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 입으로 인공호흡을 할 수 없을 때는 입을 막고 코로 실시한다.
    • ⑥ 맥박확인
      • 목의 양측에 있는 경동맥을 손으로 만져 맥박의 유무를 확인한다.
        • 10초 이내에 확인해야 하고(심정지 확인을 위해 10초 이상 허비해서는 안된다는 의미), 성인은 경동맥, 소아는 팔꿈치의 상완동맥이 잘 만져진다.
      • 맥박이 있으면 인공호흡을 계속 실시하면서 1분마다 맥박을 다시 확인한다.
    • ⑦ 흉부압박
      • 맥박이 없으면 환자를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에 수평자세로 눕히고 흉부압박을 시작한다.
        • 쉽게 흉골의 가운데를 압박하면 되지만, 좌우의 갈비뼈가 만나는 곳에서 두 손가락 정도 위쪽이 정확한 위치이다.
      • 흉부압박 요령

        • 압박깊이 : 4~5cm(너무 강하게 깊이 누르면 갈비뼈가 골절될 수 있음에 유의)
        • 압박속도 : 100회/분(3초에 5회 정도)
        • 압박주기 : 압박 對 이완율 50 : 50으로 함
    • ⑧ 재평가
      • 심정지환자가 질식 등 호흡성 원인으로 심정지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5cycles(약 2분)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후 응급의료체계에 연락한다.

    지진 발생 시

    사고 진압반(무대구역)

    • 무대시설 비상 정지
      • 공연 중 이상 진동에 의해 무대 위 물건들이 흔들리면 구동중인 무대시설을 비상 정지 시킨다.
    • 지진 발생 알림
      • 무대에 있는 공연자에게 지진이 발생했다고 큰소리로 알린다.
    • 출입문 개방
      • 무대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출입문을 개방한다.

    관객 대피반(객석구역)

    • 지진 발생 알림
      • 관객에게 지진이 발생했다고 큰 소리로 알리고 좌석에서 안전자세를 취하라고 명령한다.
    • 출입문 개방
      • 객석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출입문을 개방한다.

    관객 대피 및 응급환자 확인

    • 지진이 멈춘 후 관객 대피 실시
      • 지진이 멈추면 관객을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킨다. (야외 농구장)
    • 환자 발생 여부 확인
      • 안전한 장소로 대피 후 환자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응급환자가 발생했다면 즉시 119에 신고한다.

    정전 발생 시

    사고 진압반

    • 정전 원인 파악
      • 정전 원인을 파악하여 보고 체계에 따라 신속하게 전파하고 조치를 강구한다.

    관객 대피반

    • 관객 안정
      • 정전에 의해 공연이 잠시 중지된 것을 알리며 관객의 동요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한다.
    • 관객 대피 실시
      • 정전이 장시간 해결되지 않을 경우, 공연 취소를 안내하고 관객 대피를 실시한다.

    신고 및 협력반

    • 협조 기관 신고
      • 정전이 발생하면 즉시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등에 신고하여 관계자의 도움을 요청한다.

    안내요원 행동요령

    • 관중이 동요하지 않고 조명이 들어올 때까지 제자리에서 대기토록 침착하게 안내를 실시한다.
    • 화재, 붕괴, 전기사고 등에 의한 정전이 아닌지 원인조사를 위하여 상황을 보고체계에 의해 신속하게 전파한다.
    • 정전원인을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을 때까지 관중 대피유도를 자제한다.(이 기간동안 모든 안내요원은 손전등, 야광조끼 등 안내용 장비를 갖추고 비상위치로 이동)
    • 장기간 정전복구가 불가능하여 관중을 대피시켜야할 경우 비상구에서 가까운 관중부터 천천히 대피토록 안내한다.
    • 모든 관중이 대피 완료할 때까지 안내요원은 정위치에서 안내한다.
    • 대피 완료후 잔류하거나 부상당한 관중은 없는지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