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텔로미어 : 박성신 장편소설
- 저자 : 박성신 지음
- 출판사 : 북다
- 출판년도 : 2024
- 청구기호 : 813.7 박성신ㅌ
소장위치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
EM0184995 | 종합자료실 | 813.7 박성신ㅌ | 대출가능 | 예약불가 |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세상을 담고 싶었던) 컵 이야기 | 박성우 글 | EM0000338228 | 813.7 박성우ㅋ |
(세상을 담고 싶었던) 컵 이야기 | 박성우 글 | EM0000109550 | 813.7 박성우ㅋ |
(세상을 담고 싶었던) 컵 이야기 | 박성우 글 | EM0000159949 | 813.7 박성우ㅋ |
나는 보헤미안을 사랑한다 = I love bohemian : 나는 보헤미안처럼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인지자로 살고프다 | 박성일 지음 | EM0000336675 | 813.7 박성일ㄴ |
[큰글자도서] 노량 : 최후의 10일 | 박성종 | EM0000129231 | 813.7 박성종ㄴ |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큰 글자책] 살변의 창 : 피의 노래 | 지은이: 박성신 | EM0000126497 | 813.7 박성신ㅅ |
로라미용실 | 박성신 지음 | EM0000062105 | 813.7 박성신ㄹ |
행복한 비밀 하나 : 박성배 동화집 | 지은이: 박성배 | EM0000092050 | 813.7 박성배ㅎ |
사람은 떠나고 이야기만 남아 있네 : 어느 오래된 강마을에 전해 오는 설화 아홉 편 | 글: 박성대 | EM0000107290 | 813.7 박성대ㅅ |
피우리 미용실 = Piuri hair : 박성경 장편소설 | 지은이: 박성경 | EM0000371653 | 813.7 박성경ㅍ |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
점촌도서관 | EM0124477 | 일반자료실 | 813.6 박54ㅌ | 대출가능 | |
칠곡도서관 | EM0122121 | 임시도서관(종합자료실) | 813.7 박53ㅌ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 | EM0384928 | 일반자료실 | 813.7 박성신ㅌ | 대출가능 | |
청도도서관 | EM0184995 | 종합자료실 | 813.7 박성신ㅌ | 대출가능 | |
고령도서관 | EM117738 | 종합자료실 | 813.7 박53ㅌ | 대출가능 |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 박성신 |
---|---|
출판사 | 북다 |
출간일 | 20241106 |
ISBN | 9791170612025 |
정가 | |
요약 | 다재다능한 이야기꾼의 등장! 제10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작『처절한 무죄』로 제1회 대한민국 콘텐츠공모전 최우수상, 『30년』으로 제1회 갤럭시탭 삼성문학상을 수상하며 주목을 받아온 작가 박성신의 신작 장편 미스터리 『텔로미어』가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현재 영화화 진행 중인 장편소설 『제3의 남자』로 “치밀한 플롯, 매력적인 캐릭터, 탁월한 밀당 능력. 괴력에 가까운 흡인력이 인상적”(정유정 작가)이라는 평가를 받은 그는, 『텔로미어』로 제10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우수상을 받으며 다시 한번 균형감 좋은 스토리텔러로서의 면모를 증명하였다. “인간이 정말로 두려워하는 것은 결코 악마 따위가 아니다. 그것은 바로 늙은이가 된다는 것이다”라는 강렬한 문구로 시작하는 『텔로미어』는 늙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공포를 ‘노화방지법’이라는 문제적 소재를 통해 놀랍도록 생생히 그려낸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모두에게 익숙해졌지만 여전히 나의 일로는 체감되지 않는 노인 문제를 유려하고 안정적인 미스터리에 녹여 마지막까지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우수상 심사평에서 “생동감 넘치는 필력으로 시의성과 장르적 재미 모두를 거머쥔 이야기꾼의 등장”(주원규 작가)이라는 찬사를 받은 『텔로미어』는 소설은 물론 드라마, 영화 시나리오 작가로 활약하면서 끊임없이 우리 사회와 사람들을 관찰해 온 작가의 역량이 집약된 수작이다.■ 내용 소개"노화는 치료할 수 있는 병이지,더는 자연의 섭리가 아니야" 생체 시계를 50년 이상 되돌릴 수 있는 약이 만들어지고, 75세 노인에게 이를 의무적으로 투여한다는 ‘노화종말법’의 시행을 앞둔 어느 날, 아파트 쓰레기장에서 온몸의 뼈가 열세 군데 부러진 채 사망한 남자가 발견된다. 형사 현묵은 아파트 입구 CCTV를 살피지만 기이하게도 용의자가 들어가는 모습만 찍혔을 뿐이다. 연이어 같은 방식으로 사람들이 죽어 나가고, 현묵은 그들이 과거 사기사건의 공범임을 알게 된다. 한편 사회복지사 기해는 15년간 연락이 없었던 아버지의 부고와 함께 사망 직전 그가 보낸 우편물을 받는다. 그 안에는 낡은 열쇠와 어릴 적 키운 반려견 사진이 들어 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