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추천

  1.  HOME
  2. 자료검색
  3. 추천도서
  4. 사서추천
공격 사회 : 비난과 조롱에 익숙해지다
  • 공격 사회 : 비난과 조롱에 익숙해지다
  • 저자 : 정주진 글
  • 출판사 : 철수와영희
  • 출판년도 : 2024
  • 청구기호 : 334 정77ㄱ


소장위치

등록번호 소장위치 청구기호 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EM0212334 청소년권장도서코너 334 정77ㄱ 대출가능 예약불가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저자 등록번호 청구기호
공격 사회 : 비난과 조롱에 익숙해지다 정주진 글 EM0000431126 334 정77ㄱㄱ
정주진의 평화 특강 : 가짜뉴스, 난민, 국가 폭력, 민족주의, 환경으로 살펴본 평화 이야기 정주진 지음 EM0000241581 334 정77ㅈ
정주진의 평화 특강 : 가짜뉴스, 난민, 국가 폭력, 민족주의, 환경으로 살펴본 평화 이야기 정주진 EM0000102290 334 정77ㅈ
세상을 바꾼 10대들, 그들은 무엇이 달랐을까 ? : 생명을 위협받는 시대, 세상을 뒤집을 10대들이 왔다 정학경 지음 EM0000434700 334 정91ㅅ
슬픈 노벨상 : 인류를 구했던 영광의 노벨상, 왜 세계의 재앙이 되었을까? 정화진 글 EM0000115622 334 정95ㅅ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저자 등록번호 청구기호
(정주진의) 평화 특강 : 가짜뉴스, 난민, 국가 폭력, 민족주의, 환경으로 살펴본 평화 이야기 정주진 지음 EM0000079312 334 정76ㅍ
정주진의 평화 특강 : 가짜뉴스, 난민, 국가 폭력, 민족주의, 환경으로 살펴본 평화 이야기 글: 정주진 EM0000116216 334 정76ㅈ
공격 사회 : 비난과 조롱에 익숙해지다 정주진 글 JM0000242875 334 정76ㄱ
오늘부터 해시태그 정연숙 글 EM0000131363 334 정64ㅇ
오늘부터 해시태그 : 혐오와 차별을 없애는 운동 정연숙 글 EM0000131450 334 정64ㅇ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등록번호 소장위치 청구기호 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동도서관 EM0375762 일반자료실 334 정주진ㄱ 대출가능
고령도서관 EM115377 종합자료실 334 정77ㄱ 대출가능
영주선비도서관 EM0212334 청소년권장도서코너 334 정77ㄱ 대출가능
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EM283136 종합자료실 334 정77ㄱ 대출중 20250525
예천도서관 EM0138381 일반자료실 334 정77ㄱ 대출가능
구미도서관 EM0431126 일반자료실 334 정77ㄱㄱ 대출가능
울릉도서관 EM0120063 종합자료 334 정주진ㄱ 대출가능
청도도서관 EM0180377 종합자료실 334 정주진ㄱ 대출중 20250524
상주도서관화령분관 EM0115889 일반자료실 334 정주진ㄱ 대출가능
상주도서관 JM0242875 일반자료실 334 정76ㄱ 대출가능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정주진
출판사 철수와영희
출간일 20240210
ISBN 9791171530069
정가
요약 왜 피해자와 약자를 혐오하고 공격하는가?이 책은 장애, 참사 피해자, 빈곤, 난민, 노동조합, 외국인 노동자, 탈북민, 기후변화, 젠더 갈등 등 아홉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피해자와 약자에 대한 공격과 혐오가 왜 일어나는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살펴본다. 저자는 피해자와 약자를 공격하고 혐오하는 행동과 표현이 점점 더 흔해지고 노골화되고 있다고 말한다. 이를 통해 비뚤어진 자기 우월감과 자기만족을 얻고, 견해가 다른 사람들을 공공의 적인 사회악으로 만들고, 자기 주변과 사회에서 제거하려 한다고 지적한다.빈곤한 사람에게는 ‘게으르고 무능한 사람’, ‘폭력적인 사람’, ‘잠재적 범죄자’ 등의 꼬리표를 붙임으로써 빈곤한 사람을 멸시하고 기피할 ‘정당한’ 근거를 만든다.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 대해서는 장애인의 당연한 권리가 아니라 사회적 시혜로 보기 때문에, 장애인의 이동권 요구를 위한 탑승 시위를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불법적이고 비문명적인 행동이라고 비난한다. 난민에 대해서는 이들이 자기 삶의 영역인 국가와 지역사회에 들어와 이웃이 되고 자기 눈에 뜨이게 되는 상황을 극도로 싫어하기에 이들을 범죄자로 취급한다. 노동조합과 파업에 대해서는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임에도 국가 경제가 위축되고 기업이 어려움에 처하면, 노조를 사회악으로 파업을 불법으로 몰아붙인다. 외국인 노동자는 이미 우리 사회의 중요한 집단 중 하나이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이방인이라고 생각하며 착취를 정당화하고, 쉬운 공격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 책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약자와 피해자를 공격하는 사람들의 분노와 적대감은 사회의 불공정과 부정의, 사회적 차별에 대한 정당한 분노 표출과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들은 자신들이 주류사회와 집단의 의견을 대변한다는 왜곡된 우월감과 자신감으로 피해자와 약자를 공격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힘에 의존하고 힘을 과시하려는 혐오와 공격은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가로막고 자기 힘을 더 키우기 위해 상대적 약자를 제물로 삼는 행동일 뿐이라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