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아이 : 박영란 장편소설
- 저자 : 지은이: 박영란
- 출판사 : 우리학교
- 출판년도 : 2023
- 청구기호 : 813.7 박64ㅅ
소장위치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
EM0208997 | 청소년권장도서코너 | 813.7 박64ㅅ | 대출가능 | 예약불가 |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시그니처 : 박영광 장편소설 | 박영광 지음 | EM0000088712 | 813.7 박64ㅅ1 |
서울 아이 : 박영란 장편소설 | 박영란 지음 | EM0000090984 | 813.7 박64ㅅ2 |
서울 아이 : 기다리는 일의 끝에 누군가 | 박영란 지음 | EM0000424646 | 813.7 박64ㅅㅇ |
위안의 서 | 박영 지음 | EM0000071233 | 813.7 박64ㅇ |
안의 가방 : 박영란 소설집 | 박영란 지음 | EM0000066165 | 813.7 박64ㅇ |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 저자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
밤의 연애 : 박영 장편소설 | 지은이: 박영 | EM0000099360 | 813.7 박64ㅂ |
부엉이방귀를 찾아라 | 박예분 지음 | EM0000109622 | 813.7 박64ㅂ |
벽사아씨전 : 박에스더 장편소설 | 박에스더 지음 | EM0000131303 | 813.7 박64ㅂ |
벽사아씨전 : 박에스더 장편소설 | 박에스더 지음 | EM0000092552 | 813.7 박64ㅂ |
모르는 게 없던 척척박사 후안에게 닥친 끝없는 시련과 고난에 대하여 : 박연철 그림책 | 박연철 글 | JU0000057844 | 813.7 박64ㅁ |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 등록번호 | 소장위치 | 청구기호 | 상태 | 반납예정일 |
---|---|---|---|---|---|
구미도서관 | EM0424646 | 일반자료실 | 813.7 박64ㅅㅇ | 대출가능 | |
칠곡도서관 | EM0115339 | 종합자료실 | 813.7 박64서 | 대출가능 | |
영일도서관 | EM0090984 | 종합자료실 | 813.7 박64ㅅ2 | 대출가능 | |
울릉도서관 | EM0118204 | 종합자료 | 813.8 박영란ㅅ | 대출가능 | |
청도도서관 | EM0179663 | 종합자료실 | 813.7 박영란서 | 대출가능 | |
안동도서관 | EM0372232 | 일반자료실 | 813.7 박영란ㅅ | 대출가능 | |
의성도서관 | EM0156423 | 종합자료실 | 813.7 박64ㅅ | 대출가능 | |
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 EM277802 | 종합자료실 | 813.7 박64서 | 대출가능 | |
예천도서관 | EM0138363 | 일반자료실 | 813.8 박64ㅅ | 대출가능 | |
영주선비도서관 | EM0208997 | 청소년권장도서코너 | 813.7 박64ㅅ | 대출가능 |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 박영란 |
---|---|
출판사 | 우리학교 |
출간일 | 20230719 |
ISBN | 9791167552129 |
정가 | |
요약 | “행복이 왜 슬픈 이야기가 돼요?”“계속될 수 없기 때문이지.”아이를 어른으로 만드는 회색 도시에서자그맣게 반짝이는 삶의 비밀을 마주한십 대의 따뜻하고 아픈 성장기할머니가 유산으로 남긴 이층집을 지키는 열일곱 소녀의 이야기인 『나로 만든 집』, 원룸가에 위치한 한밤의 편의점을 지키는 열여덟 소년의 이야기인 『편의점 가는 기분』 등 특별히 주목하지 않는 장소에 천착해 아무도 돌보지 않는 아이들과 눈 맞춰온 작가 박영란이 전하는 가슴 저릿한 ‘희망’의 이야기.열 살, 열여덟 살 형제는 자신들을 두고 떠난 ‘아이언맨’을 기다린다. 형이 아이언맨을 기다리다 못해 직접 그를 찾아 나서면, 어린 동생은 형도 함께 기다린다. 성장한다는 것은 어쩌면 무언가를 간절히 기다리는 일이 아닐까? 그러나 쓰라림만 가득할 것 같은 아이들의 여름에는 비밀스러운 고양이와 무심히 냉장고를 채워 주고 사라지는 허름한 이웃들이 있다. 두 아이가 묵묵히, 또 덤덤히 통과하는 뜨거운 여름의 한복판. 작가의 곧고도 따스한 시선이 스스로가 환영받지 못한다고 느껴왔던 십 대들을 누구도 내쫓지 않는 서울의 광장으로 초대한다. |